치매를 일으키는 여러 질환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병 치매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알츠하이머병 치매
-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치매의 원인 질환 중 하나이다. 단백질 이상으로 뇌세포가 죽고 이로 인해 인지기능 등이 퇴화하면서 발병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하는 데에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있다.
- 치매의 원인 중 가장 흔한 원인이다. 전체 치매 환자들 가운데 60-70%에 해당하고 있는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알츠하이머병 치매 유병률은 함께 증가하게 된다.
2. 알츠하이머병의 임상 증상
1) 인지 기능 장애
- 기억장애 : 치매를 의심하게 되면 가장 처음 의심하게 되는 증상이 기억장애이다. 수일 전 기억, 즉 최근 기억에서 먼저 기능 저하가 생기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을 진단받은 지 오래될수록 오래전 기억도 함께 저하되게 된다. 최근 기억보다는 과거 기억을 잘 기억하고 보존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병이 진행되면 될수록 그 범위가 점점 손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지남력 장애 : 가장 먼저 일어나는 부분이 시간에 대한 개념이 낮아진다. 흔히들 증상으로 보이는 몇 시에 밥 먹었는지, 친구를 언제 만났는지를 잊어버린다. 아이가 대학을 언제 갔는지 연도를 잃어버리는 등 평소 잘 기억했던 익숙한 시간에 대한 개념들이 저하되는 것이다. 자녀의 얼굴을 보고도 못 알아볼 수도 있고, 항상 살고 있던 집도 잊어버리곤 한다. 보통 지남력 장애의 순서는 시간 - 장소- 사람 개념의 순서로 기능이 저하된다.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 언어장애 : 대화를 하다가 문장에 적절하게 들어가야 하는 단어가 생각나지 않아서 말을 더듬게 되거나 말문이 막히게 되는 증상으로 언어장애가 시작된다. 단어 찾기 곤란을 시작으로 이름대기 곤란- 언어 이해력 저하 순으로 진행되는 치매환자의 언어장애는 말을 더듬기도 하고, 다른 단어로 에둘러서 말하기도 한다. 구체적인 명사 대신 그것, 이것 등으로 말하게 되며 고유명사 대신 대명사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언어가 어려워지니 점점 말이 짧고 대화를 하지 않으려는 행동도 보이게 된다. 내용이 빈약하고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하기도 하는데 이는 인지기능이 떨어진 부분도 있겠지만 언어장애가 와서 말하기 힘들다고 볼 수 있다. 타인의 이야기를 이해하는 능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잘못 이해하거나 전혀 이해하지 못해 대화 소통이 어려워지기도 한다.
- 시공간 장애 : 자주 다니는 길을 잘 찾지 못하게 배회하게 되는 시공간 인식과 구성 능력의 손상은 알츠하이머병 초기에도 나타날 수 있다. 심하게는 안방과 화장실을 잘 구분하지 못하게 되고, 적절한 시각적 능력을 잃게 된다. 시공간 장애는 더 나아가 가까운 가족 등도 알아보지 못하는 얼굴인식 불능증으로도 나타난다.
- 실행증 : 중기 단계에서 나타나기 시작하며, 중증에서도 대부분 나타나게 된다. 감각 손상이 없는데도 학습된 운동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수저질, 양치질 등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실행능력도 떨어지게 되며 옷 입기 등도 어려워하면 보호자가 항상 실행능력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3. 알츠하이머 치매 정신행동 증상
- 무감동 :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우울증과 다르게 정서적 표현이 감소하거나 사회적 활동이나 관계에 위축이 나타나며 무관심이 나타난다. 수동적이고 무감동적인 성격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 망상 : 비현실적인 믿음을 갖게 되면서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을 일을 상상하면서 주변 사람들과 다툼이 생겨나게 된다. 공격행동을 유발하기도 하고 도둑 망상이나 유기 망상이 그 예이다.
- 환각 : 실제로 들리지 않는 소리가 들려 환청을 겪거나,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환시가 증상이다. 혼자서 허공을 보기도 하고 아무도 없는 공간을 보며 대화를 하기도 한다.
- 우울증 : 노인 우울증은 치매환자가 아닐지라도 나타나지만,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은 80% 이상이 나타난다. 인지기능이 저하되면서 나타나는데 기능이 저하되지 않아도 나타나기도 한다. 움직이지 않으려고 하며 대인관계가 위축되고 식욕저하 등이 나타난다.
- 초조 : 부적절한 행동을 포괄하는 초조 증상은 배회하거나 반복적인 행동과 질문 등을 통해 일반적인 행동과 다른 부적절한 다양한 행동을 일컫는다. 신체적으로 언어적으로 폭행을 하면서 가족들과 갈등을 만들기도 하고, 의미 없는 배회 행동 등으로 실종의 위험에 놓이기도 한다. 과도한 고집과 통증을 호소하는 것 등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50-60%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 건강탐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의 종류 (파키슨병치매, 루이소체치매, 초로기치매) (0) | 2022.11.13 |
---|---|
치매와 또 다른 질환_섬망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2.11.08 |
치매환자의 영양섭취 중요성 (비타민, 엽산, 수분섭취) (0) | 2022.11.04 |
치매환자의 영양관리 중요성(오메가-3 지방산,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 등) (0) | 2022.11.03 |
치매환자 가족의 치매적응 5단계 (0) | 2022.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