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치매는 무엇일까?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 치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치매'란 최근 일을 기억을 하기 어려운 기억력 저하에 더불어 여러 영역에서 인지기능이 낮아지는 것을 말한다. 여러 기능 가운데 기억력을 시작으로 인지에 해당하는 기능이 낮아지고, 이 순서는 여러 치매환자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기억해두는 것이 좋다. 무슨 증상으로 치매를 의심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1. 가장 먼저 의심하게 되는 증상은 기억력이 저하되는 것이다. 오래전 일보다는 최근의 일에 대해서 기억하기 어려워하기 시작한다. 과거에 일어난 일은 잘 기억하지만 최근의 일에 대한 기억력이 점점 낮아진다. 얼마전에 먹었던 음식에 대해, 자주 다니던 음식점에 대해, 친구 이름 등 사소한 것이지만 최근일에 대한 기억력이 저하됨이 먼저 나타나게 된다. 2. 언어능력이 낮.. 더보기 2021년 대한민국 치매 현황 대통령의 공약 이행 사항 중 하나인 에서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관리사업과 치매환자에 대한 통계 및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노인의 고령화는 높아진다고 하고 치매 환자는 급증한다는데 정확하게 현황을 알고 치매환자에 대한 대책과 현실을 아는게 중요하다. 1.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실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를 통해 인구 고령화를 측정한다. 우리나라 전체인구에서 15.8%를 차지하는 인구 고령화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추정 치매환자 중에서 여러 치매 질환이 있지만 알츠하이머형 치매가 가장 진단자가 많다. (약 75.5%) 그 다음으로는 기타 유형 - 혈관성 치매 순으로 많다. 치매 환자가 점점 늘어난다고 하는데 전문가들은 2020년에는 약 84만 명이고 30년에는 136만 명 그리고 20.. 더보기 65세이상 치매진단 전 치매가 의심된다면? 65세 이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거주하는 치매진단을 받지 않은 노인부부(2인)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노인이 치매가 걱정이 된다면 어떤 지원과 예방을 위해 노력해볼 수 있을까. 치매에 대해서 고민하다 보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할지 걱정에 앞서게 된다. 병원을 가야할지, 전문가에게 진단을 받아야할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먼저 지역 내에서 가장 쉽게 찾아가 볼 수 있는 치매안심센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치매안심센터 방문 전국에는 256개의 치매안심센터가 있습니다. 해당 지역에 해당하는 치매안심센터를 검색하여 치매가 의심되어 조기검진을 받겠다고 문의를 하도록 한다.해당 지역에 보건소가 있다면 보건소에 문의를 해도 좋다. 치매안심센터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는 지역도 있지만 지방은 보..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