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건강탐색

65세이상 치매진단 전 치매가 의심된다면?

반응형

65세 이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거주하는 치매진단을 받지 않은 

노인부부(2인)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노인이 치매가 걱정이 된다면 

어떤 지원과 예방을 위해 노력해볼 수 있을까.

 

치매에 대해서 고민하다 보면 가장 먼저 무엇을 해야할지 걱정에 앞서게 된다. 병원을 가야할지, 전문가에게 진단을 받아야할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먼저 지역 내에서 가장 쉽게 찾아가 볼 수 있는 치매안심센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치매안심센터 방문

 

전국에는 256개의 치매안심센터가 있습니다. 

해당 지역에 해당하는 치매안심센터를 검색하여 치매가 의심되어 조기검진을 받겠다고 문의를 하도록 한다.

해당 지역에 보건소가 있다면 보건소에 문의를 해도 좋다. 

치매안심센터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는 지역도 있지만 지방은 보건소 내 치매안심센터를 함께 운영한다. 

 

아무래도 치매인지에 대해 진단을 먼저 받는게 중요하다. 

 

2. 치매 검사 문의를 해보자.

 

치매를 진단받기 전에 인지기능장애를 먼저 발견하여 치매에 관해 치료를 하거나 관리를 통해서 건강을 챙길 수 있습니다.

인지기능장애 검사는 일반 건강검진 항목으로 인지기능의 장애에 대해 검사할 수 있습니다.

 

인지기능장애 검사 (KDSQ-C 검사)를 실시한 후, 2년마다 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이는 만 66세 이상인 분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검진 공단은 건강검진 대상자에게 검진대상인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하는 사람은 주소지로 건강검진표를 발송합니다. 

 

검진 안내문과 검진 확인서 등을 가지고 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위 검사를 통해 치매가 의심이 된다면 치매를 진단받기 전에는 3가지 검사를 통해서 치매인지 진단받을 수 있다.

치매가 걱정이 된다면 지역의(성남시 분당구의) 치매안심센터 또는 협약 병원, 의원을 방문하여 선별검사를 먼저 시행하도록 한다. 선별검사는 (MMSE-DS) 간이 정신상태 검사를 먼저 시행하여 그 결과로 인지기능 저하가 어느 정도 진행이 되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3. 소득에 따른 지원금 혜택 받기.

치매진단검사의 결과를 통해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인 분은 

검사비 중 최대 15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원받을 수 있는 부분을 치매안심센터에 문의해보도록 한다. 

15만 원에서 초과하는 검사비는 직접 내야 하니 이 부분은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치매진단검사는 신경인지검사와 전문의 진료 등이 있으니 꼭 방문해보세요

매년 치매진단금의 치매정책제도는 변화가 있다. 보건소 치매검진 관련하여 전문가에게 도움받을 수 있는 치매검진비가 있는지를 꼭 확인해보도록 한다. 

 

치매진단 뿐만 아니라, 약물로 치료도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치매감별검사도 추천한다. 

 

4. 전문병원에 방문하여 치매감별검사 받아보기.

 

더욱 전문적인 치매 감별검사는 혈액검사와 뇌 영상 촬영 등이 있는데 

이 부분은 치매안심센터 협력의사가 작성해준 내용을 가지고 방문해도 좋다. 

 

협약병원의 등급에 따라서 검사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니 이 부분은 꼭 문의해보세요 

1. 협약 병원, 의원이 종합병원급일 경우에는 최대 8만원

2. 상급 종합병원일 경우에는 최대 11만원이 지원됩니다.

 

그 외에는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하지만 감별검사는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검사를 시행하기 때문에 

치매가 의심된다면, 그리고 진단검사에서 치매 의심이라는 진단을 받았을 경우에는 

전문적인 검사를 시행해 보도록 추천합니다.

 

5. 치매안심센터를 많이 이용해보도록 한다.

해당 지역에 있는 치매안심센터에 문의해보고, 신분증을 지참하여 

치매가 의심되어 진단검사와 선별, 감별검사를 진행하고 싶다고 

치매안심센터의 '조기검진팀'에 문의를 해보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혹시 치매 진단 전인 단계이더라도 치매안심센터에 방문하면 예방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치매안심센터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6. 문의처는 어디일까?

 

어디로 문의해야 하는지 가장 궁금한 부분입니다. 

1. 해당 지역 치매안심센터

2. 치매상담콜센터 ( 1899-9988) 18세부터 99세까지 팔팔하게!

3.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

 

문의하셔서 치매의 궁금한 부분에 대해 문의해보도록 합시다.

치매상담콜센터와 보건복지상담센터에는 치매 관련 전문 상담사가 상담을 해주니 

치매에 대해 의심되는 부분이나 지원에 관하여 통화 당시에는 어떠한 지원이 있는지 직접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